STATISTICS(28)
-
네번째 이야기 - 이산형 변수와 연속형 변수 그리고 도수분포표
안녕하세요 리그레션입니다! 세 번째 이야기의 자료 종류들은 다들 이해가 되셨는지요? 적는 저도 새내기 때 너무 어려워서 붙들고 있었던 게 기억나네요 ㅎㅎ 오늘은 이산형 변수와 연속형 변수에 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변수(variable)은 관측치(data)들을 몇 개의 그룹으로 묶을 수 있는 특징들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모 고등학교에서 중간고사를 쳤다고 했을 때, 과목명인 수학, 과학, 그리고 몇 학년 몇 반, 이름, 수학 성적, 과학 성적 등의 특징들을 변수라고 칭합니다. 관측치로는 예를 들면 수학 성적이란 변수 아래 관측치 0점부터 100점이 존재할 수 있는 것이죠. 이런 변수는 크게 두가지 종류로 나뉩니다. 1) 이산형변수(discrete variable) 2) 연속형변수(continuous..
2019.07.29 -
세번째 이야기 - 자료의 종류(질적,양적자료 / 명목,서수,구간,비율자료)
안녕하세요 리그레션입니다! 오늘은 자료의 종류에 대해 다룰 겁니다. 보통 통계학에서 자료 분석을 한다면 크게 이렇게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요, 1) 조사의 목적을 명확히 한다. 2) 목적에 알맞은 모집단을 정한다. 3) 전수조사 또는 표본조사를 하여 관측값을 모은다. 4) 자료를 정리 요약 후 구조를 살핀다. 5) 조사의 목적에 알맞은 결과를 추론한다. 6) 추론된 결과를 바탕으로 의사결정을 한다. 그리고 오늘 다룰 자료의 종류는 4번째인 '자료 정리 요약 후 구조를 살핀다' 연관이 있습니다. 통계분석을 목적으로 조사된 자료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질적 자료(qualitative data) 양적 자료(quantitative 또는 measurement data)입니다. 질적 자료는 다른 말로 범주형 자..
2019.07.28 -
두번째 이야기 - 모집단과 표본 그리고 통계의 불확실성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리그레션입니다! 오늘은 두 번째 이야기로 모집단과 표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모집단은 어미 모(母)와 집단을 합친 단어로, 조사될 수 있는 모든 관측값들을 말합니다. 표본 또는 표본 집단은 이 모집단에서 몇개의 관측값들을 선정한 집단을 말하죠. 즉 모집단 안에 표본이 들어가 있는 겁니다. 또한 모집단(population) 전체를 일일이 조사하는 것을 전수조사(census)라 하고 전체를 조사하지 않고 표본을 뽑아 조사하는 것을 표본조사(sample survey)라고 일컫습니다. 왜 표본을 뽑나요? 그 이유는 바로 모집단이 너무 클 경우, 일일이 조사하기엔 경제적 문제와 시간, 인력 문제가 있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그 모집단의 성질을 잘 대표할 수 있는 표본을 뽑아 조사하면 어느 정도 100%..
2019.07.28 -
첫번째 이야기 - 통계학의 유래와 목적
안녕하세요? 통계학 공부하는 리그레션이라고 합니다^^ 처음 인사드리네요 일상에서 주위에 둘러보면 통계학을 전공하시는 분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마케팅, 의료 관련 논문, 경제학 등을 위해 통계 개념을 종종 궁금해하시는 주변인들이 많아요~ 그래서 제가 작게나마 도움이 되려고 합니다. 그리고 제가 통계학을 정말 좋아하거든요! 제 전공이지만 ^^ 사실 저도 학사과정을 밟는 중이라 전문성이 떨어질 순 있어요! (대학원 진학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초보자들의 입장 또한 잘 이해할 수 있는 게 제 장점인 것 같아서 저도 같이 공부해나가기 위한 노력을 들이겠습니다. 거두 절미하고 이제 아예 처음 통계학을 접하시는 분들도 단번에 이해되는 개념들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그렇다 보니 블로그 글 한편 한편이 좀 간단..
2019.07.26